CS/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목차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계의 종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처럼 데이터의 종속성을 관계(relationship)로 표현하는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관계 데이터 모델 DBMS는 Oracle, MySQL, SQL Server 등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특징 데이터의 분류, 정렬, 탐색 속도가 빠르다. 오랫동안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고,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 준다. 기존에 작성된 스키마를 수정하기가 어렵다...

    트랜잭션

    DB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완전성 을 보장해주는 작업 단위 즉, 논리적인 작업 셋을 모두 완벽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원 상태로 복구해서 작업의 일부만 적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기능 트랜잭션을 통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작업을 논리적 단위로 이해를 할 수 있고 시스템의 입장에서는 그것이 데이터들을 접근 또는 변경하는 프로그램의 단위가 된다.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 → SQL 질의어를 통해 DB에 접근하는 것 ``` SELECT INSERT DELETE UPDATE 작업 단위 → 많은 SQL 명령문들을 사람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정하는 것 예시)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만원을 송금한다. 이때..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 쉽게 이해하기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 쉽게 이해하기

    출처 : https://mangkyu.tistory.com/110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 쉽게 이해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 같아서 정규화 관련 글을 풀어서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정규화(Normaliz mangkyu.tistory.com 1. 정규화(Normalization) [ 정규화(Normalization)이란? ] 정규화(Normalization)의 기본 목표는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타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Integrity)를 유지할 수 있으며, DB의 저장 용량 역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을 분해하는 정규화..

    [대용량DB] 데이터 테이블의 종류 및 특성

    출처 : https://12bme.tistory.com/200 [대용량DB] 데이터 테이블의 종류 및 특성 본 포스팅은 학습 용도로 작성되었습니다. 원본 출처는 http://blog.daum.net/hadmond/7 입니다. DW 시스템 구축시, 구축 대상이 되는 업무계(기간계)시스템의 테이블(table) 종류와 그 특성을 올바로 파악 12bme.tistory.com 본 포스팅은 학습 용도로 작성되었습니다. 원본 출처는 http://blog.daum.net/hadmond/7 입니다. DW 시스템 구축시, 구축 대상이 되는 업무계(기간계)시스템의 테이블(table) 종류와 그 특성을 올바로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중요한지는 차차 설명이 될것이며, 우선 원천 테이블의 종류와 그 특성에 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