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nival7
Change Developer
Carnival7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자바의 정석
    • 프로그래밍 언어별 tools
      • 파이썬
      • 자바
    • 코딩 테스트
      • 백준 강의 기초편
      • 백준 강의 연습편
      • 백준 강의 문제편
      • 삼성 기출
      • 백준 - 일반
      • 카카오 기출
      • 프로그래머스 - 일반
      • 코테 풀이 Tools
    • CS
      • Network
      • 운영체제
      • 알고리즘
      • DB
    • Web_Backend
      • Spring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DevOps
    • IT 업무 지식
      • 인프라
      • 클라우드
    • 자격증
      • AWS - CLF
      • 정처기 - 실기
    • 생각 정리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nginx
  • 삼성기출 #백준강의문제편
  • DMZ
  • 프로그래머스 #카카오기출 #레벨2
  • 슬라이딩 윈도우 #덱
  • 스프링 #AOP
  • 코딩테스트 #삼성기출 #구현 #시뮬레이션
  • 스프링 #인터셉터 #AOP #필터
  • Github Actions
  • 스프링 부트 무중단 웹 서비스
  • ci/cd
  • 삼성기출 #2023 #상반기
  • DevOps
  • code deploy
  • 알고리즘 #백준강의기초편 #코딩테스트
  • 슬라이딩 윈도우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Carnival7

Change Developer

Web_Backend/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3.동시요청 - 멀티 쓰레드

2024. 6. 29. 21:42

동시요청 - 멀티 쓰레드

  • 동시요청 - 멀티 쓰레드
    •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
      • 쓰레드 풀 기반 멀티쓰레드 지원 및 관리
      • 쓰레드
    • 단일 요청 - 쓰레드 하나 사용
    • 다중 요청 - 쓰레드 하나 사용
    • 요청마다 쓰레드 생성
    • 쓰레드 풀
      • 실무 팁
      • 쓰레드 풀의 적정 숫자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

쓰레드 풀 기반 멀티쓰레드 지원 및 관리

  1. 서블릿 컨테이너는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풀에서 새로운 자바 쓰레드를 하나 배정하는데, HTTP 서비스 메소드를 실행하고 나면, 쓰레드는 자동으로 쓰레드풀로 돌아가게 됩니다. 원래는 쓰레드를 관리해야 하지만 서버가 다중 쓰레드를 생성 및 운영해주니 쓰레드의 안정성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 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가 처리
    2. 개발자가 멀티 쓰레드 관련 코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됨
    3. 개발자는 마치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편리하게 소스 코드를 개발
    4.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서블릿, 스프링 빈)는 주의해서 사용

image

쓰레드

•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쓰레드
•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
•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
•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
•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

단일 요청 - 쓰레드 하나 사용

image

image

image

image

  •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이 없을 때는 쓰레드 휴식
  • 요청 발생 시 WAS의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 할당 및 서블릿 호출하여 요청 내용 수행 후 응답

다중 요청 - 쓰레드 하나 사용

image

  • 클라이언트로부터 첫 번째 요청이 들어오면, WAS의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 할당 및 서블릿 호출하여 요청 내용 수행. 이 과정에서 처리 지연 발생
  • 클라이언트로부터 두 번째 요청이 들어오면, 첫 번째 요청과 두 번째 요청 모두 응답을 받지 못하여 타임아웃 혹은 오류 발생

요청마다 쓰레드 생성

image

  • 장점
    • 동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 리소스(CPU, 메모리)가 허용할 때 까지 처리가능
    • 하나의 쓰레드가 지연 되어도, 나머지 쓰레드는 정상 동작한다.
  • 단점
    • 쓰레드는 생성 비용이 매우 비싸다.
    •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 응답 속도가 늦어진다.
    • 쓰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한다.
    • 쓰레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
    • 고객 요청이 너무 많이 오면, CPU, 메모리 임계점을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다.

쓰레드 풀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의 단점 보완

image

image

  • 특징
    •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한다.
    • 쓰레드 풀에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를 관리한다. 톰캣은 최대 200개 기본 설정 (변경 가능)
  • 사용
    • 쓰레드가 필요하면, 이미 생성되어 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내서 사용한다.
    • 사용을 종료하면 쓰레드 풀에 해당 쓰레드를 반납한다.
    • 최대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쓰레드 풀에 쓰레드가 없으면?
      • 기다리는 요청은 거절하거나 특정 숫자만큼만 대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장점
    •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CPU)이 절약되고, 응답 시간이 빠르다.
    •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실무 팁

  • WAS의 주요 튜닝 포인트는 최대 쓰레드(max thread) 수이다.
  • 이 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서버 리소스는 여유롭지만, 클라이언트는 금방 응답 지연
  • 이 값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CPU, 메모리 리소스 임계점 초과로 서버 다운
  • 장애 발생시?
    • 클라우드면 일단 서버부터 늘리고, 이후에 튜닝
    • 클라우드가 아니면 열심히 튜닝

image

쓰레드 풀의 적정 숫자

  •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복잡도, CPU, 메모리, IO 리소스 상황에 따라 모두 다름
  • 성능 테스트
    • 최대한 실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성능 테스트 시도
    • 툴: 아파치 ab, 제이미터, nGrinder

Reference

  1. 인프런 김영한 강의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1.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3.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

'Web_Backend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서블릿  (0) 2024.06.29
1.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0) 2024.06.29
    'Web_Backend/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 서블릿
    • 1.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Carnival7
    Carnival7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