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전 세계 고객과 더 가까운 곳에 데이터 복사본을 캐싱하는 작업은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입니다.
CDN은 많은 곳에서 사용되며 AWS에서는 CDN을 Amazon CloudFront라고 부릅니다.
EX
IT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에 액세스해야 하는 고객이 뭄바이에 있지만 데이터는 서울 리전에서 호스팅된다면, 뭄바이 기반 고객 전원에게 데이터 액세스 요청을 서울로 보내라고 하는 대신 뭄바이에 복사본을 로컬로 배치하거나 캐싱하면 됩니다.
Amazon CloudFront
Amazon CloudFront는 데이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API를 전 세계 고객에게 짧은 지연 시간으로 빠르게 전달해 주는 콘텐츠 전송 서비스입니다.
Amazon CloudFront는 전 세계에 있는 엣지 로케이션을 이용해 사용자가 어떤 위치에 있든 통신 속도를 높이며, 콘텐츠를 캐시하여 전 세계 고객에게 콘텐츠를 전송합니다. 캐시된 콘텐츠는 로컬에 복사본으로 저장됩니다.
엣지 로케이션은 리전과 구분됩니다.
따라서 리전에 있는 콘텐츠를 전 세계 엣지 로케이션 모음에 푸시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통신과 콘텐츠 전달의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됩니다.
AWS 엣지 로케이션은 CloudFront만 실행하지는 않습니다.
Amazon Route 53라고 하는 Domain Name Service 즉 DNS도 실행합니다.
상당히 짧은 지연 시간으로 고객의 요청을 올바른 웹 위치로 보내기 위함입니다.
엣지 로케이션
엣지 로케이션은 Amazon CloudFront가 더 빠른 콘텐츠 전송을 위해 고객과 가까운 위치에 콘텐츠 사본을 캐시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트입니다.
AWS Outposts
기업이 자체 건물 내에서 AWS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AWS 인프라 및 서비스를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등 다른 위치로 확장하게끔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AWS가 사용자의 데이터 센터 내부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소형 리전을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곳이죠.
AWS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AWS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건물에 격리됩니다.
[출처]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자격증 > AWS - C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와의 연결 (0) | 2023.11.20 |
---|---|
AWS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방법 (0) | 2023.10.24 |
AWS 글로벌 인프라 (0) | 2023.10.24 |
Elastic Load Balancing을 사용하여 트래픽 리디렉션 (0) | 2023.10.18 |
추가 컴퓨팅 서비스 (0) | 2023.10.18 |